
2분기 첫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시장의 반응은 예상과 다르지 않았다는 것인데요. 왜 기준금리를 동결 했는지 그 결정에 대한 이유을 알아보겠습니다.한국은행 기준금리- 현 기준금리는 연 2.75%- 현재 불경기를 고려하면 금리를 내려서 경기를 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음- 하지만 크게 2가지 이유로 금리를 동결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함 ① 환율 변동성-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인 '환율'로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한 관세 정책으로 환율이 크게 출렁- 1,410~1,480원대까지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 이미 금리를 0.25%p 낮춘 지난 2월에 이어 연속 인하로 미국과 금리가 벌어질 경우 원화 가치가 내려 환율이 치솟을 수 있다고 봄- 미..

CDBC에 대해 들어보신적이 있으실텐데요.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로 은행 계좌 없이 언전하고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프로젝트' 한강을 통해 실제 매장에서 실험 중인데요. 이번 달부터 약 3개월간 국민 10만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다고 합니다. CDBC는 무엇인지, 간편결제 서비스와 어떤 차이점,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CDBC'란-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라고 불리며,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법정 화폐- 약 3개월간 국민 10만명 대상으로 편의점, 카페 등 결제 실험인 '프로젝트 한강' 진행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CDBC' 핵심 특징① 흔들리지 않는 가격- CBDC도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처럼 블록체인 ..

25일 금일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하했는데요. 0.25%p 인하하면서 연 2.75%p로 조정되었습니다. 환율 상승 및 물가 부담이 잇지만 내수 침체를 살리기 위해서라는데요. 왜 금리를 낮추게 된건지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기준금리를 낮춘 이유 3가지경제 살리기-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열렸고 기준금리 연 2.75%p로 0.25%p 인하-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2% 대로 내려온 것은 22년 10월 이후 처음- 내수 경제가 너무 어렵고, 수출 증가율도 둔화되면서 경제 침체가 더 짙어지고 있었음- 현재 경기 상황만 보면 금리를 내리는 것이 당연한 상황이라고 함국내외 악재- 기준금리가 낮아졌지만 어려운 상황- 기준금리를 너무 낮추면 환율이 상승하고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음- 원달러 환율이 ..

한국은행이 24년 12월 4일부터 비정례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시작하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보여지는데요. '비정례 환매조건부채권(RP)'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RP는 무엇인가- Repo(레포)의 약어로 환매조건부채권이라 불리며 채권의 거래방식 중 하나- 돈을 빌려준 기간이 길수록 더 많은 이자수익 발생- 이자는 연 이자가 일할 계산되어 매일 지급되는 방식 국채 & RP 포스팅 ☞비정례 RP 매입 목적 및 기간▶ 목적 : 단기 유동성 공급 확대 및 시장 안정화▶ 기간 : 24년 12월 4일부터 25년 2월 28일까지 한시적으로 시행 비정례 RP 매입 대상▶ 대상 증권 확대- 기존 : 국채, 정부보증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