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분기 첫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시장의 반응은 예상과 다르지 않았다는 것인데요. 왜 기준금리를 동결 했는지 그 결정에 대한 이유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 현 기준금리는 연 2.75%
- 현재 불경기를 고려하면 금리를 내려서 경기를 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음
- 하지만 크게 2가지 이유로 금리를 동결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함
① 환율 변동성
-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인 '환율'로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한 관세 정책으로 환율이 크게 출렁
- 1,410~1,480원대까지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
- 이미 금리를 0.25%p 낮춘 지난 2월에 이어 연속 인하로 미국과 금리가 벌어질 경우 원화 가치가 내려 환율이 치솟을 수 있다고 봄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당분간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영향
② 한국의 집값 상승
-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 재지정하며 꿈틀한 집값 상승세를 막는중
-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다시 치솟을 거라는 걱정도 있음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재 당시 집값이 급등하였고, 대출이 얼마나 증가했는지 확인이 아직 안됨
즉, 2분기에는 숨 고르기를 하며 환율과 가계 빛 추이, 미국 정책 방향 등 분위기를 살피겠다라는 것!
대한민국 경제 영향은?
- 위축된 투자와 소비를 살리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지만, 당분간 경기 침체는 이어질 전망
- 채권 금리는 떨어지고 채권 가격은 치솟을 것으로 예상됨
-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 안전자산으로 눈길을 돌리는 투자자들이 증가하기 때문
- 시장 금리가 조금씩 떨어지고 있지만 오히려 예금 금리만 낮추고 대출 금리는 내리지 않아 예대금리차가 커짐
-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재지정 이후 거래가 늘면서 다시 상승할 조짐을 보이며, 가계 부채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기준금리는 언제 내릴까?
- 올해 경제 성장률이 0%대에 그칠 거라는 걱정에 한은이 오는 5월에 금리를 인하해 경기 살리기에 나설 거라는 말이 나옴
- 다음 달에도 관세 불안이 여전할 가능성이 높지만 1분기 성장률이 쪼그라들면 한은이 금리 인하를 더 미루기는 어려울 거라는 것
- 미국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계속되면 5월까지는 분위기를 지켜볼 거라는 반론도 나옴
- 서울 집값 상승세와 가계부채 증가세 등도 고려하면 5월은 이르며, 하반기 첫 금리 인하 시점인 7월에 금리를 내릴 거라고 예상한다는 것.
한국은행 CDBC, 대한민국 신상 디지털 화폐 알아보기! (프로젝트 한강)
CDBC에 대해 들어보신적이 있으실텐데요.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로 은행 계좌 없이 언전하고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프로젝트' 한강을 통해 실제 매장에서 실험
adonis-ho.tistory.com
빅스 지수는 무엇인가, VIX와 VKOSPI로 알아보는 공포지수 정리! (트럼프 관세 전쟁)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와 관세 폭탄으로 경기침체 우려와 함께 글로벌 및 우리나라 증시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특히 뉴욕증시에서는 변동성 지수인 'VIX'가 크게
adonis-ho.tistory.com
2030세대의 ISA 계좌 알뜰,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 총정리!!
INRTO요즘 2030세대 사이에선 주식, 펀드, 예금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ISA의 열기가 뜨겁다고 하는데요. 유행따라 가입은 하지만, 투자는 막상 고민이 되시는 분에게 ISA 계좌 알뜰하게 사
huge-econom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