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내 주식시장은 거의 파란불만 들어오고 있는 상황에서 또 주목해야하는 이슈가 하나 발생했는데요. 바로 '상장폐지'입니다. 특히 3월에는 상장폐지 사유가 집중됨에 따라 예기치 못한 상황에 피해를 입기도 하는데요. 실제 25년 3월 무려 35개 상장사가 상장폐지 사유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한 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상장폐지 사유 기업
-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5년 들어 상장폐지 사유 발생 기업은 총 40곳(스팩 제외)
- 이 중 3월에만 35개 기업 포함
- 유가증권 13곳, 코스닥 25곳, 코넥스 2곳으로 총 40곳
- 특정 시기에 몰리는 이유는 바로 감사보고서 발표 시점으로 기업이 회계법인으로부터 '의견 거절' 받으면 곧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됨
- 대부분 자본 전액 잠식, 횡령, 배임 의혹 등 회계상 중대한 문제들이 포함된 결과
- 대표적으로 웰바이오텍, 선샤인푸드, 엔케이맥스 등 이 사유로 시장에서 퇴출 위기
소액주주 비중 높은 종목
- 대표적으로 '금양' 기업이 있으며, 한때 이차전지 테마주로 주가가 급등하며 인기를 끌었음
- 최근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한다는 발 표 이후 투자자들의 불안이 커짐
- 소액주주는 24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들의 지분율 합은 65% 이상
- 상장폐지 이슈도 문제이지만 대부분 소액주주 비중이 매우 높은 종목들임
- 대표적으로 엔케이맥스는 소액주주 비중이 무려 99%
- 상장폐지 될 경우 주식은 비상장 상태가 되며, 실질적은 매매가 불가능해 짐에 따라 원금 회수 어려워짐
상장폐지 대비 방법은 무엇인가
① 감사보고서 확인 필수
- DART(전자공시시스템)에서 투자 중인 기업의 감사의견이 '적정'인지 확인
- 의견 거절 또는 한정 의견일 경우 상장폐지 가능성을 진지하게 검토
② 상장폐지 확정 시 절차 확인
- 정리매매, 보호 예수, 잔여 재산 분배 등 주주로서 챙길 수 있는 권리 확인
③ 소액주주 비중 확인
- 지나치게 소액주주 비중이 높은 종목은 피하거나 분산투자를 통해 리스크 줄여야 함
주식이 계속 상승세를 보이다가도 기업 자체가 시장에서 사라지는 '상장폐지'로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렇듯 주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기업의 신뢰성과 회계 투명성은 확인이 가능하니 꼭 감사보고서 등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재테크] 금 투자 방법에 대한 모든 것! (직접/간접 구매, 장단점, 수수료, 세금, ETF상품)
INTRO요즘같이 경기가 불황인 시대에 미국도 국내도 투자처가 마땅하지 않은데요. 그러다보니 안전자산으로 많이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들 금 투자는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금'을
huge-economy.tistory.com
발란 미정산금 수백억원, '티메프 사태'와 닮은 이유 (요약)
최근 국내 온라인 명품 거래 플랫폼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발란' 업체에서 대규모 미정산 사태가 발생했는데요. 산정 시스템 오류에 따른 미정산이라고 해명을 했지만, 자본잠식 상
adonis-h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