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 은행에서는 1년짜리 예금이 아닌 6개월짜리 단기 예금 상품을 많이 출시하는데요.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단기 예금이 더 유리한 상황입니다. 요즘 예금 트렌드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알아보고 원인 및 투자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새로운 예금 공식
1. 기존 예금 금리 공식
- 돈을 오래 맡길수록 이자를 잔뜩 받는 것이 바로 예금
- 오랜 기간 돈을 맡기면 은행도 이 돈을 여유롭게 굴려 많은 수익을 내고 이자로 나눠줌
2. 새로운 예금 금리 공식
- 돈을 짧게 맡기는 고객에게 이자를 더 많이 챙겨주는 것
-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라고 하며, 6개월짜리 예금 금리가 1년짜리 예금 금리를 넘어서게 됨
→ 두 상품의 금리는 최대 0.1% 차이가 나는데 예로 전북은행과 우리은행의 1년 만기 예금 상품의 금리는 각각 3.15%, 3%로 6개월 만기 금리 상품보다 0.05% 낮음
→ 카카오뱅크와 SH수협은행의 1년 만기 상품은 6개월 만기 상품보다 0.1% 낮음
∴ 6개월 미만의 단기 예금으로 몰리고 있음
금리가 바뀐 원인
1. 금리 하락세
- 예금 금리 기준인 기준금리가 작년 10월, 11월 두 달 연속 하락
- 은행들은 금리 하락 시기에 만기가 짧은 상품에 주력하는 경향이 있음
- 만기가 긴 상품을 팔았다가 나중에 금리가 떨어지면 손실을 볼 수 있음
2. 고객 맞춤형 예금
-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오랫동안 돈을 맡기는 것을 망설이거나 상황을 예의주시 지켜보는 사람들 많아짐
- 만기가 짧은 예금에 돈을 넣어두기 시작하며 수요가 증가함
- 은행들도 짧게 돈을 굴려야 하기 때문에 단기 금리 상승하게 되었고, 장단기 금리가 역전됨
새로운 트렌드 환경 투자 방법
1. 안전자산 활용
- 보통 금리 하락은 경기가 나빠졌다는 신호로 이 시기에는 금, 채권, 달러 등 가격 변동폭이 적은 안전자산으로 이동
- 24년 12월 5대 은행의 골드바 판매가 전달보다 약 25% 상승했으며, 현재도 수요가 폭증하고 있음
2. 단기 예금 활용
- 장기 예금보다 금리가 높은 단기 예금 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
- 현재 6개월 만기 상품 중 금리가 높은 건 기본 금리가 3.2%인 SH수협은행과, 카카오뱅크가 있음
3. 분산 투자
- 불확실성이 높은 현재 상황에서는 손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여러 자산에 쪼개서 투자하는 방법이 좋음
- 하나가 내려도 다른 하나가 올라서 손실을 줄이거나 만회가 가능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I 러우 전쟁 종전 관련 테마주 종목 TOP5 (그 외 종목)
러우 전쟁 종식의 기대감에 재건 관련주들이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클 수 있겠지만, 트럼프가 종식을 원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할 테마일 것
adonis-ho.tistory.com
[미국주식]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관세 수혜를 받는 미국 산업 및 기업 총정리! (관세정책 배경,
INTRO미국 트럼프는 막무가내로 관세 정책을 펼치며 미국 기업과 글로벌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데요. 특히, 관세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세금을 부과함으로써 국내 제조업과 특정
huge-economy.tistory.com
[미국배당ETF] 'MSTY' 고배당률 ETF 상품에 대해 알아보자 (커버드콜, 배당성향, 장단점)
INTRO국내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배당 ETF에 대해 알아보고 투자를 하고 있는데요. 저도 직접 투자하면서 데이터를 쌓는 중입니다. 미국 배당 ETF 중 고배당이면서 월배당인 일드맥스에서 내놓은 MS
huge-economy.tistory.com